직장인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가 바로 급여일 텐데요. 하지만 실제 월 수령액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 각종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인데요. 4대 보험이 대표적이고, 그 외에도 소득세나 지방소득세 등이 있습니다.
사회 초년생들은 생각보다 적은 금액에 실망하는 일도 생기죠. 그렇기 때문에 월급으로 받는 실수령액은 연봉/12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.
그렇다면 이러한 각종 급여 세금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? 급여 세금 계산은 직장과 밀접하게 관련된 각종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.
구인구직 사이트로 유명한 사람인을 통해서 급여 세금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포털 사이트에 사람인을 검색한 후 연봉 정보를 클릭하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그러면 옆에 조그맣게 간편 연봉 계산기라고 보이실 텐데요. 아래쪽에 있는 계산기 정식 버전 버튼을 클릭하여 급여 세금 계산기를 띄울 수 있습니다.
!-- meni286 상단 -->
연봉은 2400만 원, 식대는 10만 원을 받는다고 가정하고, 부양가족은 본인 외에 없으며, 자녀도 없는 것을 가정했을 때 세금과 월 실수령액을 계산하면 1,821,320원이네요.
이 계산기는 법적 효력을 갖고 있거나 그만큼의 정확성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. 평균적인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'대략 이 정도 되겠다'는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.
그럼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'etc > 생활 노하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7년lh국민임대주택입주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 (0) | 2017.07.28 |
---|---|
2017년 국가유공자 자녀 혜택 정확하게 알아보기 (0) | 2017.07.21 |
자신의 대학졸업증명서 인터넷발급을 간편하게 하는 방법 (0) | 2017.07.14 |
간편하게 재직증명서 인터넷발급 받는 방법 (0) | 2017.07.11 |
최신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하는 법 알아보기 (0) | 2017.07.06 |